음식 재료 백서

산초, 제피, 초피 차이, 제피 김치, 산초 기름, 먹는 법, 유의 점

prietzz 2023. 1. 24. 15:37
반응형

산초, 제피, 초피 차이, 제피 김치, 산초 기름, 먹는 법, 유의 점

 

우리나라에서도 고유로 즐기는 향신료가 여럿 있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향신료는 제피, 산초 인데요, 경상도 지역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향신료입니다.
이 세 가지 향신료의 차이가 어떻게 되는지 이번 기회를 통해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추어탕 집에 가면 볼 수 있는 이 녀석은 제피 가루입니다. 고유의 톡 쏘는 향이 추어탕의 잡내도 잡고 풍미도 업그레이드 시켜줍니다.

 

 

 

 

 

1. 제피, 초피, 먹는 법, 요리 법, 산초 제피 차이 점

 

산초, 제피 차이 점


제피는 초피나무 열매라고도 불리며, 경북 안동 지역에서는 제피를 넣어 배추김치를 담가서 제 김치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추어탕에 넣는 향신료는 초피나무의 열매를 가루를 내어 만든 가루입니다. 초피나무는. 우리나라에서는 동해 및 남부 지방에서 자생합니다. 그 맛은 후추와 같이 혀가 얼얼해지는 매운맛이나, 후추와 차이점이라면 신맛이 좀 더 강하고 코에서 느껴지는 향이 더 강하다는 점을 들 수 있겠네요.

 

이와 다르게 산초는 중부 지방에서 주로 사용되었는데요, 가루로 만들어서 먹는 제피와는 다르게 주로 기름으로 짜서 만들며, 해당 나무가 주로 자생하는 중부 지역에서 재배되어 판매됩니다. 산초는 고유의 향이 비누 향을 내어 제피 혹은 초기와는 완전히 다른 식품입니다.

 

엄연히 두 식물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혼동되는 경우가 많은 이유는, 일본에서 제피를 “산쇼”라고 일컫는 데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제피 혹은 일본어 발음인 산소는 일본에서는 매우 흔하게 사용되는 향신료인데요, 우리가 흔히 아는 시치미에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외에도, 일부 국물 요리에서도 산쇼의 어린잎을 얹어서 향을 즐기기도 합니다. 산초와 제피의 가장 큰 차이는 맛과 향인데요, 제피는 얼얼한 매운맛인 반면 산초는 향이 오히려 비누와 같이 향기롭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추어탕 집에서 첨가하여 먹는 얼얼한 향신료는 “초피” 혹은 “제피“ 입니다.

 

일본 조미료 시치미란? 

시치미는 일본어로 7가지의 맛이라는 뜻인데요, 지역 혹은 해당 공산품을 제조하는 업체에 따라 구성하는 것은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생 고춧가루, 볶은 고춧가루, 검은깨, 겨자 열매, 후추/제피, 진피 혹은 유자 껍질 가루, 유채씨 등을 넣어서 혼합한 일종의 조미료인데요, 흔히 일본식 우동을 판매하는 곳에 방문하시면 보시는 조미료통의 여러 가지가 섞인 붉은 색 가루가 바로 이 시치미입니다. 

 

 

초피, 제피 먹는 법, 요리 법


위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씨앗을 최대한 제거하여 건조해 가루로 만들어 요리에 참가하는 방식으로 먹게 됩니다. 이 경우 들깻가루 보다는 조금 더 짙은 색깔의 가루의 모양새를 지니게 됩니다. 늦여름과 가을 사이에 열매가 나무에 맺히면 채취하여 그늘에 따서 수분을 모두 제거하여 줍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가루로 만들어 먹기도 하지만, 일부는 기름을 짜내어 밝은 노란색의 기름 형태로 음식에 첨가하기도 합니다.

열매에서 추출한 가루를 특유의 매운맛과 향으로 즐기기도 하며, 동시에 제피 나무의 잎은 어리고 부드러운 부분을 채취하여 요리에 참가하여 먹기도 합니다. 잎 부분도 제피 가루, 기름과 도일하게 매운맛이 납니다. 단, 이 경우 어린잎만 가능하며, 짙은 푸른색을 띠게 되면 이파리에서는 우리가 흔히 아는 제피의 풍미가 매우 약하게 느껴지므로 음식의 재료로서는 가치가 없어지게 됩니다. 중국에서도 자주 사용되는데요, 우리나라에서도 추어탕에 넣어서 먹는 것과 동일하게, 중국에서도 주로 민물 생선을 요리할 때 함께 첨가하여 먹게 됩니다. 중국에서는 제피 뿐 아니라 화자오 하는 중국 향신료를 첨가하여 얼얼한 맛과 향으로 민물고기에서 나는 흙내와 같은 장내를 잡아주며 동시에 매운맛을 내는 성분이 혀끝을 아리게 해서 부드러운 단백질 맛의 민물고기 풍미를 배가하여 줍니다.

 

초피나무 열매의 경우, 일부 경상도 지역에서는 배추김치에 넣어 먹기도 하면서 요즈음에 초피 액젓을 만들어 판매하기도 합니다. 이는 초피 가루를 천일염, 멸치와 함께 숙성시킨 것으로 맑은 액젓으로 구매하시는 경우, 김치뿐 아니라 일상 요리를 하실 때 국, 반찬 등에 넣어서 조리하시면 조금은 특별한 풍미를 가진 밥 요리를 만드실 수 있습니다. 특히, 고유의 향신료 기능이 있어, 생선, 육류 등에 넣게 되면 비린내 혹은 장내를 제거하는데 탁월하며, 간장 대신 넣으시는 경우, 얼얼한 맛이 입맛을 돋구어주며 소화에도 도움을 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산초 기름, 효능, 섭취하는 방법, 유의 점

 

산초 기름, 효능


산초는 주로 기름으로 추출하여 사용하며, 식용 보다는 약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산초기름으로 오일 풀링을 대상 포진 등의 피부염이 있는 경우 환부에 직접 도포하여 염증을 완화하는 용도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이는 산초가 가지고 있는 효능 중 하나인 구축을 해독 작용이 있어서라고 합니다. 이 외에도 요즈음에는 리놀산과 같이 건강에 좋은 것으로 널리 알려진 불포화 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건강을 챙기기 위해 식용 보다는 약용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이 보입니다.

 

 

 

산초 섭취 하는 방법, 유의 점


약용으로 섭취하시는 경우, 천연의 식물성 기름으로 처음부터 많은 양을 섭취하시는 것 보다는 조금씩 양을 늘려가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특히 장이 민감한 경우, 기름을 섭취하게 되면 설사를 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어린 아이보다는 성인이 섭취하시는 것이 더 안전할 것 같기도 하고요. 일부 독소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어, 하루에 너무 많은 양을 섭취하는 것은 피해 주셔야 합니다. 또한 모유 수유하시거나 임산부인 경우에는 당분간은 피해주세요. 또한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열이 많은 체질을 가지신 경우, 섭취를 지나치게 많이 하게 되면 위장을 자극할 수 있다고 하니 처음에 섭취하실 때는 적은 양으로 시작하셔서 체질에 맞는지를 한번 테스트하시면 더 건강하게 약용으로 섭취하실 수 있습니다.